설탕25g
페이지 정보
본문
계량의 모든 것! (종이컵/밥숟가락 계량, ml/g은 어떤 차이? 한 컵에 몇 그램?)
오늘은 계량의 모든 것을 상세히 설명해드리는 영상을 준비했어요.
예전에 계량 관련 영상을 올렸었는데, 문의 댓글도 많이 남겨주시고 관심을 많이 가져 주셔서,
좀 더 상세히 정리해서 다시 한 번 준비해보았습니다 :)
평소보다 설명이 많은 영상이지만, 숙지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쑥쑥 늘 거에요!
영상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 많이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맘스레시피입니다 :)
감사하게도 저희 계량 영상을 정말 많은 분들이 봐주시고 계시는데요,
저희가 지금까지는 문의주시는 거의 모든 내용에 답글을 달아드렸지만,
모든 재료를 다 갖고 있지 않기도 하고, 죄송하지만 앞으로는 문의주시는 재료들을 모두 계량해서 알려드리기가 힘이 들 것 같아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리구요,
요즘은 마트나 다이소에 저렴한 전자저울을 많이 판매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정말 쑥쑥 늘거에요! 꼭 한 번 방문해보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
Instagram: @moms_recipes_
Email: youjinh1227@gmail.com
#계량#종이컵계량
Track : HEMIO - Flower waltz
Music by HEMIO
https://www.youtube.com/user/FVGozak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맘스레시피 Mom's recipes : 안녕하세요, 맘스레시피입니다 :)
감사하게도 저희 계량 영상을 정말 많은 분들이 봐주시고 계시는데요,
저희가 지금까지는 문의주시는 거의 모든 내용에 답글을 달아드렸지만,
모든 재료를 다 갖고 있지 않기도 하고, 죄송하지만 앞으로는 문의주시는 재료들을 모두 계량해서 알려드리기가 힘이 들 것 같아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리구요,
요즘은 마트나 다이소에 저렴한 전자저울을 많이 판매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정말 쑥쑥 늘거에요! 꼭 한 번 방문해보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伊伊 cherryday : I love that you explained every step so detailed and clearly, this recipe looks great
라떼1호 : 영상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아까 과제하기 전에 쿠키만드는 영상보고, 과제 끝내면 쿠키만들려고 했는데, 저울이 없어서 계량이 너무 애매했거든요ㅠㅠㅠ저같은 사람에게 너무 주옥같은 영상이예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urple rice 이야기가 있는 요리 : 좋은 정보들 나누어 주셔서 감사 드려요,,, ~~
계량을 잘 해야 좋은 레시피대로 요리가 되는데,,,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물감자물개 : 물: 종이컵 (한컵기준)180g
우유: 종이컵 184g
설탕: 종이컵 152g
밀기루: 종이컵 89g
제3강: 설탕은 독이다
#설탕 #과당 #당뇨병
장항준 박사의 내과TV
제3강:당뇨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첫번째 음식은?
Ezra Hangjun Jang MD PhD
Board certified internal medicine
서울고/ 한양대학교 의대 졸업
NYU 화학 박사 - chemistry PhD 취득
Brookdale University Hospital 내과 레지던트 수료
New York Hospital Queens ( 현 코넬 대학병원 퀸즈 ) 내과 attending 근무
장항준 내과 개업 / Ezra Medical care
장항준 내과
Ezra Medical Care PC
150-09 Northern Blvd
Flushing, NY 11354
718-886-7575 ( 치료치료)
Yun Su Kim : 저도 비교적 젊은(5학년) 당뇨 환자인데, 선생님 강의 듣고, 저도 다시 뭔가 싸워보고 싶은 동기부여가 됩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God bless you!
k kwons : 박사님 매번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저는 간호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생인데요. 중간중간에 생리적이론과 병리적이론을 같이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더 잘 되는거 같아 선생님강의 즐겨 보고 있습니다.얼마나 많이 공부해야 이렇게... 막힘 없이 설명이 가능할까... 항상 선생님들 존경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려요~~
즈아가 : 단 것과 가공식품 전체를 제외하면 마트에서 살 수 있는 게 채소랑 고기 곡물 밖에 없더라구요. 매장의 절반 이상이 독입니다.
Minnie P : 음식조절 진짜 중요한 부분인데 참 지키기 어려운 것 같아요 특히 단거는 너무 지키기 힘든 부분이에요 ㅠ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다시시작 : 선생님 채널 구독해서 듣게된지 며칠 안됐는데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를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설탕의 소리없는 공격. 우리는 왜 단맛에 중독되나 (KBS_557회_2015.10.14 방송)
생로병사의 비밀 557회_설탕의 경고 (2015.10.14)
최근 외식 업계를 비롯해 방송에서도 설탕이 유행이다. 설탕 넣은 된장찌개를 비롯해 설탕 듬뿍 넣은 레시피를 보며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단맛에 중독됐다. 반면, 최근 영국에서는 비만율을 줄이기 위해 설탕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20%의 설탕세(Sugar tax)를 부과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가공식품을 통한 일일 당 섭취 기준량은 하루 섭취 열량의 10%인 50그램. 여기서 나아가 좀 더 건강을 생각한다면, 기준량보다도 더 낮은 25그램을 권고했다. 그러나, 식약처에서 조사한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 당류 섭취량을 보면, 12세에서 29세, 그러니까 청소년과 젊은 성인층은 WHO의 기준치인 50그램보다 더 많은 당을 섭취하고 있다. 그리고, 주로 탄산음료와 커피를 통해 당을 섭취하고 있었다. 과연, 우리의 단맛 탐닉에는 문제가 없을까? 그리고, 설탕을 탐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KBS건강 – http://health.kbs.co.kr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K : 이 설탕편 정말 감사합니다. 식당 음식이 제가 적어도 기억할 수 있는만큼은 지난 15년 엄청 달아진것 같아요. 요새 특히 너무 달아서 식당에서 가끔은 못 먹을 지경입니다. 찌개, 김치, 국, 깻잎절임, 낙지볶음, 볶음밥 등등에 설탕 등 감미료가 아예 안들어가는게 훨씬 맛있고 제대로된 식사같습니다. 미세한 단 맛은 양파, 파 등에서 다 나오고 충분합니다. 설탕, 올리고당, 물엿, 파인애플 등을 저런 짠음식에 넣는 순간 너무 달아져요. 식당밥 먹게 해주세요. 본래 약간 단 음식들도 있는데 역시 요새 지나치게 달아요. 단 맛을 제발 줄여주세요. 유럽에서는 짠음식(일반 식사)과 단음식(후식)을 우리보다 더 확실히 구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후식은 선택이되 식사는 필수가 되어야 하잖아요. 식당에서 가끔 지나치게 단 음식익 나오면 첫 몇술갈은 맛있게 먹어도 금방 질려서 도저히 못먹겠어요. 제가 단 음식을 당최 먹질 안습니다. 설탕 들은 커피를 한 달에 두 잔 정도 마신것 같고 과자도 어쩌다 먹고 하루 한두 끼는 제가 요리해 먹다보니 파, 양파, 방울토마토, 두유가 제가 먹는 제일 단 식품입니다. 제가 과일은 좀 더 먹어야 할텐데 채소는 많이 먹어도 과일도 별로 안먹습니다. 콜라 등 일반 단 음료수는 아예 거의 안마시고, 어쩌다 한 번 오렌지주스, 요거트, 요구르트 등 사 먹습니다. 저는 저런 세레토닌 기복같은거 전혀 없어보여요. 스트레스 없고 언제나 평온하고 불안감 없고 우울감 없고 단맛, 담배든 뭐든지간에 전 의존성이 전혀 없습니다. 이 평온의 세계로 오세요.
Sangsik Lee : 술하고 단것은 조금만 먹는게 더 힘들다. 그냥 안먹는게 더쉽지. 식후 과자한개가 땡기는데 한개 먹다보면 한봉지 꿀걱.
Hyelim Shin : 생로병사 이렇게 풀로 올려주는거 너무좋아요!!!!!!
향숙 : 나도 단거 좋아하는데 단음식을 달게 먹는건 이해가 돼도 비빔밤이나 김치찌개에 설탕 들이붓는건 ㄹㅇ 컬쳐쇼크다;;
Seohyun Kang : 평상시 당연시 생각해왔던 사고방식들이 이렇게 문제를 이를킬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그렇기에 평소 자신에 되돌아 볼 수 있었던 영상인 것 같아요,이러한 실험을 통해 결과들을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좋은 취재의 영상 잘보고 갑니다
오늘은 계량의 모든 것을 상세히 설명해드리는 영상을 준비했어요.
예전에 계량 관련 영상을 올렸었는데, 문의 댓글도 많이 남겨주시고 관심을 많이 가져 주셔서,
좀 더 상세히 정리해서 다시 한 번 준비해보았습니다 :)
평소보다 설명이 많은 영상이지만, 숙지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쑥쑥 늘 거에요!
영상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 많이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맘스레시피입니다 :)
감사하게도 저희 계량 영상을 정말 많은 분들이 봐주시고 계시는데요,
저희가 지금까지는 문의주시는 거의 모든 내용에 답글을 달아드렸지만,
모든 재료를 다 갖고 있지 않기도 하고, 죄송하지만 앞으로는 문의주시는 재료들을 모두 계량해서 알려드리기가 힘이 들 것 같아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리구요,
요즘은 마트나 다이소에 저렴한 전자저울을 많이 판매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정말 쑥쑥 늘거에요! 꼭 한 번 방문해보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
Instagram: @moms_recipes_
Email: youjinh1227@gmail.com
#계량#종이컵계량
Track : HEMIO - Flower waltz
Music by HEMIO
https://www.youtube.com/user/FVGozak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맘스레시피 Mom's recipes : 안녕하세요, 맘스레시피입니다 :)
감사하게도 저희 계량 영상을 정말 많은 분들이 봐주시고 계시는데요,
저희가 지금까지는 문의주시는 거의 모든 내용에 답글을 달아드렸지만,
모든 재료를 다 갖고 있지 않기도 하고, 죄송하지만 앞으로는 문의주시는 재료들을 모두 계량해서 알려드리기가 힘이 들 것 같아요
이 점 양해 부탁드리구요,
요즘은 마트나 다이소에 저렴한 전자저울을 많이 판매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해두시면 요리 실력이 정말 쑥쑥 늘거에요! 꼭 한 번 방문해보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伊伊 cherryday : I love that you explained every step so detailed and clearly, this recipe looks great
라떼1호 : 영상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아까 과제하기 전에 쿠키만드는 영상보고, 과제 끝내면 쿠키만들려고 했는데, 저울이 없어서 계량이 너무 애매했거든요ㅠㅠㅠ저같은 사람에게 너무 주옥같은 영상이예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urple rice 이야기가 있는 요리 : 좋은 정보들 나누어 주셔서 감사 드려요,,, ~~
계량을 잘 해야 좋은 레시피대로 요리가 되는데,,,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물감자물개 : 물: 종이컵 (한컵기준)180g
우유: 종이컵 184g
설탕: 종이컵 152g
밀기루: 종이컵 89g
제3강: 설탕은 독이다
#설탕 #과당 #당뇨병
장항준 박사의 내과TV
제3강:당뇨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첫번째 음식은?
Ezra Hangjun Jang MD PhD
Board certified internal medicine
서울고/ 한양대학교 의대 졸업
NYU 화학 박사 - chemistry PhD 취득
Brookdale University Hospital 내과 레지던트 수료
New York Hospital Queens ( 현 코넬 대학병원 퀸즈 ) 내과 attending 근무
장항준 내과 개업 / Ezra Medical care
장항준 내과
Ezra Medical Care PC
150-09 Northern Blvd
Flushing, NY 11354
718-886-7575 ( 치료치료)
Yun Su Kim : 저도 비교적 젊은(5학년) 당뇨 환자인데, 선생님 강의 듣고, 저도 다시 뭔가 싸워보고 싶은 동기부여가 됩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God bless you!
k kwons : 박사님 매번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저는 간호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생인데요. 중간중간에 생리적이론과 병리적이론을 같이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더 잘 되는거 같아 선생님강의 즐겨 보고 있습니다.얼마나 많이 공부해야 이렇게... 막힘 없이 설명이 가능할까... 항상 선생님들 존경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려요~~
즈아가 : 단 것과 가공식품 전체를 제외하면 마트에서 살 수 있는 게 채소랑 고기 곡물 밖에 없더라구요. 매장의 절반 이상이 독입니다.
Minnie P : 음식조절 진짜 중요한 부분인데 참 지키기 어려운 것 같아요 특히 단거는 너무 지키기 힘든 부분이에요 ㅠ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다시시작 : 선생님 채널 구독해서 듣게된지 며칠 안됐는데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를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설탕의 소리없는 공격. 우리는 왜 단맛에 중독되나 (KBS_557회_2015.10.14 방송)
생로병사의 비밀 557회_설탕의 경고 (2015.10.14)
최근 외식 업계를 비롯해 방송에서도 설탕이 유행이다. 설탕 넣은 된장찌개를 비롯해 설탕 듬뿍 넣은 레시피를 보며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단맛에 중독됐다. 반면, 최근 영국에서는 비만율을 줄이기 위해 설탕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20%의 설탕세(Sugar tax)를 부과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가공식품을 통한 일일 당 섭취 기준량은 하루 섭취 열량의 10%인 50그램. 여기서 나아가 좀 더 건강을 생각한다면, 기준량보다도 더 낮은 25그램을 권고했다. 그러나, 식약처에서 조사한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 당류 섭취량을 보면, 12세에서 29세, 그러니까 청소년과 젊은 성인층은 WHO의 기준치인 50그램보다 더 많은 당을 섭취하고 있다. 그리고, 주로 탄산음료와 커피를 통해 당을 섭취하고 있었다. 과연, 우리의 단맛 탐닉에는 문제가 없을까? 그리고, 설탕을 탐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KBS건강 – http://health.kbs.co.kr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K : 이 설탕편 정말 감사합니다. 식당 음식이 제가 적어도 기억할 수 있는만큼은 지난 15년 엄청 달아진것 같아요. 요새 특히 너무 달아서 식당에서 가끔은 못 먹을 지경입니다. 찌개, 김치, 국, 깻잎절임, 낙지볶음, 볶음밥 등등에 설탕 등 감미료가 아예 안들어가는게 훨씬 맛있고 제대로된 식사같습니다. 미세한 단 맛은 양파, 파 등에서 다 나오고 충분합니다. 설탕, 올리고당, 물엿, 파인애플 등을 저런 짠음식에 넣는 순간 너무 달아져요. 식당밥 먹게 해주세요. 본래 약간 단 음식들도 있는데 역시 요새 지나치게 달아요. 단 맛을 제발 줄여주세요. 유럽에서는 짠음식(일반 식사)과 단음식(후식)을 우리보다 더 확실히 구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후식은 선택이되 식사는 필수가 되어야 하잖아요. 식당에서 가끔 지나치게 단 음식익 나오면 첫 몇술갈은 맛있게 먹어도 금방 질려서 도저히 못먹겠어요. 제가 단 음식을 당최 먹질 안습니다. 설탕 들은 커피를 한 달에 두 잔 정도 마신것 같고 과자도 어쩌다 먹고 하루 한두 끼는 제가 요리해 먹다보니 파, 양파, 방울토마토, 두유가 제가 먹는 제일 단 식품입니다. 제가 과일은 좀 더 먹어야 할텐데 채소는 많이 먹어도 과일도 별로 안먹습니다. 콜라 등 일반 단 음료수는 아예 거의 안마시고, 어쩌다 한 번 오렌지주스, 요거트, 요구르트 등 사 먹습니다. 저는 저런 세레토닌 기복같은거 전혀 없어보여요. 스트레스 없고 언제나 평온하고 불안감 없고 우울감 없고 단맛, 담배든 뭐든지간에 전 의존성이 전혀 없습니다. 이 평온의 세계로 오세요.
Sangsik Lee : 술하고 단것은 조금만 먹는게 더 힘들다. 그냥 안먹는게 더쉽지. 식후 과자한개가 땡기는데 한개 먹다보면 한봉지 꿀걱.
Hyelim Shin : 생로병사 이렇게 풀로 올려주는거 너무좋아요!!!!!!
향숙 : 나도 단거 좋아하는데 단음식을 달게 먹는건 이해가 돼도 비빔밤이나 김치찌개에 설탕 들이붓는건 ㄹㅇ 컬쳐쇼크다;;
Seohyun Kang : 평상시 당연시 생각해왔던 사고방식들이 이렇게 문제를 이를킬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그렇기에 평소 자신에 되돌아 볼 수 있었던 영상인 것 같아요,이러한 실험을 통해 결과들을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좋은 취재의 영상 잘보고 갑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